본문 바로가기

마케팅 꿀팁

아마존 Amazon A+, Amazon Premium A+ 차이는?

728x90
728x90


상세페이지란 제품의 상세적인 정보를 볼 수 있도록 구현한 온라인 페이지를 일컫습니다.
국내에서는 사이트마다 세로형으로 길게 이어진 형태의
여러 상세 페이지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.

이와는 반면 해외 유명 판매채널인 아마존 (Amazon) 에서는 상세페이지가 전혀 다른 형태로 노출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.

아마존(Amazon)의 경우,
Amazon A+(EBC) 이냐 Amazon Premium A+ 이냐에 따라 콘텐츠를 정방형 혹은 가로형으로 구성하여 등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.

소비자 입장에서는 모니터 화면을 세로로 스크롤링하여 보는 것은 동일하겠으나, 콘텐츠를 등록하는, 즉 이미지를 제작할때는
가로형 / 정방형 등의 버전으로 구분하여 제작해야하는 것이죠.

그렇다면, 여기서 말하는 Amazon A+ , Amazon Premium A+ 는 각각 어떤 것일 까요?

쉽게 비교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.

[Amazon A+ (구용어: EBC)]
: 컨텐츠를 17가지의 모듈로 구성/등록 가능 (단, 이미지/텍스트만 가능)

[Amazon Premium A+] *즉, 더 업그레이드 된 버전
: 컨텐츠를 19가지의 모듈로 구성/등록 가능
: 영상, 제품 비교차트(Comparison chart), 슬라이드 이미지,
핫스팟(Hotspots), Q&A 등 다양한 모듈 보유

베이직 (Amazon A+)와 아마존 프리미엄 A+ 의 차이
아마존 프리미엄 A+ 모듈 (Amazon Premium A+ modules)


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,
아마존 프리미엄 A+ 는 일반 베이직, 즉 아마존 A+ 보다 영상, 제품 비교차트, 핫스팟, 슬라이드 이미지 등
더 많은 모듈을 활용함으로써 더 많은 콘텐츠(이미지)를 노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.

아쉬운 점은 아마존 센트럴에서 초대한 대형 공급업체(판매자)에 한해, "유료 서비스 비용" 지불시
해당 Amazon Premium A+ 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요.

대형 브랜드사에서는 다양한 제품을 많이 팔아 매출을 견인하는 만큼,
아마존 측에서 대형 공급업체에만 제공하는 특전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.

Amazon Premium A+ 를 이용하려면 보다 많은 금액의 서비스 비용을 지불해야 하겠지만
브랜드사에서는 자사 제품의 장점을 더 많은 콘텐츠로 보여줄 수 있는 만큼 경쟁력 있는 tool 이기에
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.

아마존 채널에서 여러 제품 군을 검색해보며,
Amazon Premium A+ 사용하고 있는지 직접 찾아보는 것도 또 다른 즐거움을 줄 수 있을 듯 합니다.

728x90
반응형